기사상세페이지

장미경 의원, 제267회 5분 자유발언... 산불 원인 대비책 마련 촉구

기사입력 2023.05.09 13:39

SNS 공유하기

fa tw gp
  • ba
  • ka ks url

    [구미뉴스 임양춘 대표기자]=1차 본회의에 앞서 진행된 5분 자유발언에서 장미경 의원은 구미시 산불의 가장 큰 원인으로 영농부산물 소각을 언급하면서 이를 예방하기 위해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계도와 함께 톤백을 농가에 제공하여 산불의 원인을 원천차단하는 대비책 마련을 촉구하였다.

    4. 5분자유발언(장미경 의원).JPG

     

    장미경 의원5분 자유발언 원문

     

    존경하는 구미시민 여러분!

    발언의 기회를 주신

    안주찬 의장님과 선배, 동료의원 여러분!

     

    오늘 자리를 함께 해주신

    김장호 시장님과 관계 공무원 여러분께

    감사의 인사를 드립니다.

     

    안녕하십니까?

    선산, 무을, 옥성, 도개에 지역구를 두고 있는

    장미경 의원입니다.

     

    요즘 전국 각지에서 일어나는

    무시무시한 화마를 보며

    구미시의 실정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오늘 이 자리에 섰습니다.

    202234

    전 국민 모두를 안타깝게 만들었던

    울진-삼척 산불이 있었습니다.

    ------ ppt 1 On Screen ------

    이 화재는 강력한 돌풍으로 인해

    불이 사방으로 날아다니고 도로를 넘어

    온 사방을 불바다로 만든 대형화재로

    울진, 삼척 주민

    5,600여 명이 대피를 하고

    2ha(헥타르)의 피해구역이 발생했으며

    이는 서울특별시 면적의 40%

    경제적 가치는 1,300억원에 육박하는

    재난 이었습니다.

    --- 의원님 화면 전환 ---

    결국

    재난 국가위기경보 심각이 발령되었고

    213시간 만에 완전히 진화되는

    끔찍한 자연재해를 경험했습니다.

    우리 구미시는 어떨까요?

     

    38제곱키로미터의 산업단지

    9만명에 달하는 근로자분들이

    근무하고 있고

    시 면적의 76%

    임야와 농경지입니다.

     

    만약 이곳에서 화재가 일어나면

    어떻게 되겠습니까?

    생각만해도 끔찍한 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

    ------ ppt 2-3 On Screen ------

    소방청 국가화재정보시스템에 따르면 2

    20231월부터 현재까지

    경상북도 23개 시·군 중

    화재 발생 건수가 산불 포함 135건으로 3

    구미시가 가장 많은 지역으로

    조사되었습니다.

    --- 의원님 화면 전환 ---

    많은 화재가 발생하였으나

    인명피해가 없다는 것은

    참으로 다행이지만

    규모에 관계없이

    화재가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다는 것은

    우리를 집어삼킬 화마를

    항상 곁에 두고 있다는 말이기도 합니다.

     

    또한 산불의 경우에는

    산림청 조사결과

    쓰레기 소각, 논두렁 태우기,

    영농부산물 등의

    소각으로 인한 화재로

    대부분 개인의 부주의로 인해 일어난

    산불이었습니다.

    특히 2019

    고아읍 대망리 산불은

    영농쓰레기 소각으로 인한 화재

    22만 제곱미터에 달하는 임야가 불에 탔고

    진화할때에 헬기를 투입할 만큼

    그 비용과 피해도 막심했습니다.

     

    하지만 이런 산불을 예방하기 위한 노력은

    무엇이 있었을까요?

     

    2022년 구미시가

    산불예방을 위해 투입한 예산은 50억원으로

    산불전문예방진화대의 인건비만 70%35억원,

    나머지는 산불감시카메라, 진화대 장비구입 등의

    부대비용으로

    사실상 산불전문예방진화대 외에는

    산불예방을 위한

    별다른 노력을 하지 않는다고 봐도 무방합니다.

    하지만 인근 지자체인 김천의 경우

    재활용할 수 있는 영농폐기물은

    전문처리업체를 통해 위탁 처리하고

    잔재물은 집중 수거 기간에

    매립장 반입을 일시적으로 허용하여

    이후에 처리비용을 징수하고 있습니다.

     

    또한 재활용되지 않는 보온덮개, 반사필름 등은

    농가에서 비용을 부담해

    대형폐기물로 처리하도록

    시 차원에서 강력하게 지도함으로써

    산불예방과 환경정화

    일거양득의 효과를 보고 있습니다.

    ------ ppt 4 On Screen ------

    또한 전남 익산시에서는

    봄철 산불예방사업의 일환으로

    산림과 인접한 곳에서 발생하는

    고춧대, 들깨대, 참깨대 등의

    영농부산물을

    수거, 파쇄하는 사업을 통해

    산불예방에 힘쓰고 있습니다.

    --- 의원님 화면 전환 ---

    앞서 말씀드렸다시피

    논두렁, 영농부산물 소각으로 인한 화재가

    가장 큰 원인이지만

     

    지금 이 순간까지도 농촌마을에서는

    영농부산물 등을 처리할

    가장 쉬운 방법으로

    소각을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관행처럼 내려오는

    논두렁, 영농부산물 소각행위는

    화재의 위험성이 큰!

    반드시 지양해야 할 행위입니다.

    이런 소각행위를 방지하고

    또 계도하여야 하지만

    농촌의 고령화로 인해

    어려움이 있다는 것을 잘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명백히 시 차원에서

    지속적인 계도와 홍보뿐만 아니라

    제도적 지원을 통해 영농부산물

    일괄 수거 및 처리를 했어야 합니다.

     

    선제적인 예방책으로

    가장 큰 화재 원인인

    영농부산물들을 담을 수 있는

    톤백 등을 영농인에게 지급,

    시기별로 일괄 수거 및 소각처리를 하고

     

    이와 더불어

    나 하나쯤이야 괜찮겠지 하는

    안전불감증이 만연한 지금

    제도적 지원과 더불어

    지속적인 계도와 홍보를 한다면

    획기적으로 화재를 줄일 수 있을 것입니다.

    또한 산불 등을 예방하였을 때의 비용과

    이를 진화하는 것에 대한

    비용적인 측면에서도 효과적입니다.

    ------ ppt 5 On Screen ------

    이철우 경북지사님 또한

    산불예방에 철저를 기하기 위해

    산불이 많이 나는 시군에는

    예산에 페널티를 주는 등

    경각심을 일깨워주고 있습니다.

    --- 의원님 화면 전환 ---

    작은 불씨 하나로 인해

    어마어마한 인적, 물적 피해를 입히는

    산불은 각고의 노력으로

    미리 예방하는 것이지

    화마가 휩쓸고 간 뒤 모든 것을 잃고

    땅을 치며 후회할 때는

    이미 늦은 것입니다.

     

    집행기관에서는

    산불 예방을 위한

    할 수 있는

    모든 방안을 적극 실행해줄 것을

    강력히 촉구하는바 입니다.

     

    이상으로 5분 자유발언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7. 의회전경.JPG

     


    Warning: Illegal string offset 'use' in /home/lyc8769a/public_html/theme/text04/mobile/sub.php on line 36

    Warning: Illegal string offset 'skin' in /home/lyc8769a/public_html/theme/text04/mobile/sub.php on line 38

    Warning: Illegal string offset 'use' in /home/lyc8769a/public_html/theme/text04/mobile/sub.php on line 36

    Warning: Illegal string offset 'skin' in /home/lyc8769a/public_html/theme/text04/mobile/sub.php on line 38

    Warning: Illegal string offset 'use' in /home/lyc8769a/public_html/theme/text04/mobile/sub.php on line 36

    Warning: Illegal string offset 'skin' in /home/lyc8769a/public_html/theme/text04/mobile/sub.php on line 38
    backward top home